김영호 국회의원 프로필 | 김영호 의원 사무실 교육위원장
- 김영호 국회의원 프로필
- 김영호 국회의원 사무실
- 김영호 교육위원장
1. 김영호 국회의원 프로필
- 이름 : 김영호
- 나이 : 57세 (2025년 기준)
- 고향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학력 : 서울 마포고등학교, 베이징대학 사회과학학부 국제학 학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중국학 석사
- 가족 : 아버지 김상현 (전 국회의원), 어머니 정희원, 부인 정현경 (전 아나운서), 아들 1명
- 소속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지역구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을
- 직책 : 교육위원회 위원장 (22대 국회)
- 재산 : 2024년 기준 약 11억원 신고
2. 김영호 국회의원 정치 입문
김영호 국회의원은 언론인으로서 현장을 누비며 쌓은 문제의식과 사회적 책임감을 통해 정치에 입문했다. 아버지가 전 국회의원이다보니 정치적 가정에서 자라며 자연스레 공공영역에 대한 관심이 형성되었지만, 이력 자체는 개인의 선택과 노력이 주를 이뤘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서울 서대문 갑에 출마하면서 본격적인 정계 활동을 시작했다. 당시는 노무현 대통령 탄핵 국면으로 인한 정치 격동기였으며, 이 선거에서 낙선한 동시에 아버지도 정계를 떠났다.
이후 2008년과 2012년에도 출마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다. 반복된 낙선에도 불구하고 포기하지 않고 지역 사회와 국민 속에서 진정성 있는 행보를 이어가며 기반을 다졌다.
정치 입문 이후 줄곧 ‘말보다 행동’을 신념으로 삼고 실천을 강조해왔으며, 오랜 시간 현장에서 쌓은 경험이 이후 국회의원으로 당선되는 결정적 자산이 되었다.
3. 김영호 국회의원 정치 경력
김영호 국회의원은 2016년 제20대 국회에서 처음으로 당선된 후, 정치 여정은 단단히 뿌리내리기 시작했다. 첫 임기 동안 재난안전대책특별위원회 간사로 활동하며 백남기 농민 사건 청문회에서 경찰 고위 간부의 위증 가능성을 지적하는 등 정의와 진실을 위한 의정활동에 주력했다.
이후 원내부대표와 정책조정위원장직을 맡으며 당내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쳤고, 검경수사권 조정 및 공수처 설치 논의에서도 중심에 있었다. 2020년 재선에 성공한 뒤에는 외교통일위원회 간사와 서울시당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국내외 현안 대응에 폭넓은 역할을 수행했다.
2022년부터는 교육위원회 간사로서 불공정 해소와 교육 개혁에 힘을 쏟았고, 2024년에는 3선 고지에 올라 국회 교육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며 정점에 올랐다.
또한, 2023년에는 김건희 여사 논문 표절 문제와 학교폭력 문제를 집중 제기하며 국정감사 현장에서 국민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정치 경력 전반에 걸쳐 지역과 국회를 넘나드는 다층적 의정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4. 김영호 국회의원 국회 교육위원장
김영호 국회의원은 국회 교육위원장으로 선출된 이후 교육 분야의 불공정과 특권 해소를 핵심 의제로 삼고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총장직선제 도입과 대학 운영의 민주화, 논문 표절 검증 제도 강화 등 학문 생태계의 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입법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김건희 여사의 논문 검증 문제를 집요하게 제기하며 교육 현장의 신뢰 회복을 위한 실천적 조치를 이끌었다. 또한, 2023년 국정감사에서는 고위공직자 자녀의 학교폭력 문제를 공개적으로 다루며 공교육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행태에 경종을 울렸다.
이러한 활동은 교육계 내부뿐 아니라 학부모, 학생, 교사 등 교육 공동체 전체에 반향을 일으켰다. 교육의 공공성을 회복하고 미래세대의 교육권을 지키기 위해, 시스템 전반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확보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교육위원회 수장으로서 실천적 의지를 바탕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제도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5. 김영호 국회의원 이진숙 교육부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는 후보자의 자녀 조기유학과 관련된 위법성 문제를 중심으로 날카로운 지적이 이어졌다. 김영호 교육위원장으로 청문회를 주재하며 공교육 수장으로서의 자격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했다.
특히 중학교 재학 중 유학 보낸 사실에 대해 현행 초·중등교육법 위반 가능성을 들어 후보자의 공정성 부족을 문제 삼았다. 현장 교사와 학생, 학부모들이 겪는 교육 현실을 언급하며 “눈물겨운 교육 환경을 직접 보라”고 촉구했고, 교육 행정 수장의 책임이 단순한 행정 관리가 아닌 국민 신뢰와 직결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논문 표절 의혹에 대해서도 국민 눈높이에 맞는 명확한 해명을 요구했으며, “정의는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는 언급을 통해 교육계의 신뢰 회복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영호 국회의원은 여당임에도 청문회 내내 공정성·책임성·윤리성을 기준으로 일관된 태도를 유지하며, 교육의 공공성 회복을 위한 단호한 입장을 견지했다.
김영호 국회의원 프로필 | 김영호 의원 사무실 교육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