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프로필 | 김현종 이재명 | 노무현 | 특보 외교안보보좌관

by 프로필인터뷰 2025. 4. 18.
반응형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프로필 | 김현종 이재명 | 노무현 | 특보 외교안보보좌관

-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프로필

- 김현종 민주당 통상안보 TF 단장

- 김현종 이재명

 

1.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프로필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프로필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프로필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프로필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은 1959년 9월 27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출생 이후 유년기를 미국에서 보냈으며, 미국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을 전공해 학사와 석사 학위를 모두 취득하고, 이어 컬럼비아 로스쿨에 진학하여 법학 박사 과정을 마친 후 미국 변호사 자격도 취득했다. 김병연 전 주미대사의 아들로 외교적 자질을 일찍부터 갖추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프로필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프로필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프로필

이후 제3대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 제21대 주유엔대표부 특명전권대사, 초대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제5대 국가안보실 제2차장 등을 역임하며 외교·통상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단 수장으로, 문재인 정부에서는 한미 FTA 개정 협상의 중심에 섰다. 

 

2. 김현종 민주당 통상안보 TF 단장 임명

김현종 민주당 통상안보 TF 단장 임명김현종 민주당 통상안보 TF 단장 임명
김현종 민주당 통상안보 TF 단장 임명

더불어민주당은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정책 기조에 대응하기 위한 통상안보 TF를 출범시켰고, 단장으로 김현종 외교안보보좌관이 임명되었다. TF 구성은 대미 통상외교에 대한 전략적 대응을 마련하기 위한 조치로, 김현종 단장은 노무현 정부에서 한미 FTA를 협상하고 문재인 정부에서는 통상교섭본부장과 국가안보실 2차장을 지낸 경험을 바탕으로 이끌게 되었다.

 

김현종 민주당 통상안보 TF 단장 임명김현종 민주당 통상안보 TF 단장 임명
김현종 민주당 통상안보 TF 단장 임명

김성회 민주당 대변인은 최고위원회의 이후 브리핑에서 TF 구성 사실을 알리며, 구체적 활동 계획은 김현종 단장이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김현종 단장은 임명 소감에서 “강화된 미국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기 위해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으며, 트럼프 행정부 시기의 경험을 활용해 정교한 전략 수립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3. 김현종 외교 경력

김현종 외교 경력김현종 외교 경력
김현종 외교 경력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은 외교관으로서의 기반을 법률과 국제통상에서 쌓아왔다. 컬럼비아 로스쿨에서 법학을 공부한 뒤, 미국에서 변호사 자격을 얻었고, 귀국 후 김·신&유 법률사무소에서 국제 상사 중재와 지식재산권 자문을 맡았다. 이후 홍익대학교 무역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학문적으로도 활동했다.

 

김현종 외교 경력김현종 외교 경력
김현종 외교 경력

1995년에는 문민정부의 WTO 분쟁해결 대책반 고문변호사로 위촉되며 공직과 국제통상 분야에서 영향력을 넓히기 시작했다. 2004년 노무현 정부에서 통상교섭본부장에 발탁되었고, 이후 2007년에는 주유엔 대사로 임명되어 유엔에서 활동했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 초대 통상교섭본부장, 외교안보특보, 국가안보실 제2차장을 역임하며 통상과 안보 외교의 중심에 있었다.

 

4.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노무현 정부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노무현 정부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노무현 정부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노무현 정부

노무현 정부 시절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은 2004년 45세의 나이로 중책을 맡았다. 한미 FTA 협상을 주도하면서 'FTA 전도사'라는 별명을 얻었고, 특히 쌀 개방 문제를 두고 강경한 입장을 고수했다. 미국 측이 쌀 시장 개방을 요구하자, 협상이 결렬되더라도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태도를 보여 협상에서 실리를 확보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노무현 정부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노무현 정부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노무현 정부

또한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은 “통상 협상은 사업적 관점에서 진행되어야 하며, 안보와는 무관하다”는 점을 분명히 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재협상 요구에 대해서도 무역수지 적자 해소 목적임을 꿰뚫고 대응 전략을 마련했다. 노무현 대통령 당선인 시절부터 통상 브리핑을 맡았고, 이후 캐나다, 인도, 멕시코 등과의 FTA 체결도 이끌며 대한민국 통상 외교의 지형을 바꿨다.

 

5. 김현종 이재명

김현종 이재명김현종 이재명
김현종 이재명

2025년 2월, 더불어민주당 대표였던 이재명은 김현종 전 국가안보실 2차장을 당 대표 특보단 외교안보보좌관으로 임명했다. 김현종은 이미 이재명 대선 캠프에서도 국제통상특보단장을 맡으며 이재명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이어왔다. 당시 임명식에서 김현종 보좌관은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기조에 대비한 정교한 외교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현종 이재명김현종 이재명
김현종 이재명

안보와 기술을 결합해 국가경제를 견인해야 한다는 발언도 주목받았다. 특히 굳건한 한미동맹과 이익 균형, 복합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성장하는 강한 대한민국' 비전을 제시했다. 기업 환경 개선, 상속세 개혁, 배임죄 개정 등의 경제 구조 변화도 제안하며, 외교 전략을 경제 정책과도 연결 지었다.

 

6. 김현종 김어준 ‘겸손은 힘들어’ 출연

김현종 김어준 ‘겸손은 힘들어’ 출연김현종 김어준 ‘겸손은 힘들어’ 출연
김현종 김어준 ‘겸손은 힘들어’ 출연

김현종 전 차장은 김어준의 유튜브 채널 ‘겸손은 힘들어’에 출연하여 외교 전략과 통상 전략을 공개적으로 설명한 바 있다. 이 자리에서 이재명 전 대표에게 30여 차례 보고서를 제출한 사실을 언급했으며, 보고서에는 K방산 지속성장을 위한 일본과의 협력 방안도 포함되어 있었다.

 

김현종 김어준 ‘겸손은 힘들어’ 출연김현종 김어준 ‘겸손은 힘들어’ 출연
김현종 김어준 ‘겸손은 힘들어’ 출연

산업 공급망 확보를 위해 일본과 긴밀한 외교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제시했고, “사쓰마번과 조슈번의 삿초동맹처럼 협력적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K방산의 부품과 소재가 일본에 의존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실질적 협상을 통해 공급망을 안정화시켜야 한다는 전략을 제시했다.

 

또한 외교안보 분야에서는 ‘굶어죽지 않고, 맞아죽지 않는 기술 노하우’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비대칭 무기의 전략적 중요성도 언급했다. 미국, 일본, 러시아와의 외교적 균형을 통해 안보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전략도 제시했다.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프로필 | 김현종 이재명 | 노무현 | 특보 외교안보보좌관

반응형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