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런던 베이글 뮤지엄 대표 | 런던 베이글 뮤지엄 과로사 사망

by 이슈인터뷰 2025. 10. 28.
반응형

런던 베이글 뮤지엄 대표 | 런던 베이글 뮤지엄 과로사 사망

- 런던 베이글 뮤지엄 대표 과로사 사망

 

런던 베이글 뮤지엄 대표 이효정 프로필

런던 베이글 뮤지엄 대표 이효정 프로필

  • 이름 : 이효정
  • 예명 : 료(Ryo)
  • 나이 : 52세 (1973년생, 2025년 기준)
  • 학력 : 비공개
  • 가족 : 남편 있음, 자녀 비공개
  • 직업 : 브랜드 디렉터, 런던베이글뮤지엄 창업자
  • 주요 경력 :
    • 온라인 패션몰 ‘알스타일’, ‘러브 앤 헤이트’ 운영
    • 카페 ‘하이웨스트’, ‘레이어드’, ‘아티스트 베이커리’ 론칭
    • 2021년 런던 베이글 뮤지엄 창업

 

런던 베이글 뮤지엄 과로사, 사망 닷새 전 21시간 근무

런던 베이글 뮤지엄 과로사

런던 베이글 뮤지엄(이하 런베뮤)’에서 일하던 20대 청년이 주 80시간에 달하는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다 지난 7월 사망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정의당은 27일 성명을 통해 “고인이 입사한 지 14개월 만에 과로로 숨졌다”며 “사망 전날에는 아침 9시에 출근해 자정 직전에 퇴근했고, 사망 닷새 전에는 21시간 연속 근무를 했다”고 밝혔다.

 

이는 주 52시간 상한제를 명백히 위반한 근로 형태로, 정의당은 “만성적 과로와 급성 과로가 겹쳐 생긴 과로사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런베뮤는 서울 종로구 안국동 1호점을 시작으로 전국 7개 매장을 운영하며 ‘청년 핫플레이스’로 불렸으나, 화려한 외면 뒤에 숨겨진 노동 실태가 도마 위에 올랐다.

 

런던 베이글 뮤지엄 부당 근로계약 논란

런던 베이글 뮤지엄 부당 근로계약 논란

정의당은 고인의 근로계약서가 주 14시간 이상 초과근로를 전제로 작성돼 제도상 주 52시간 상한을 위반하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입사 후 14개월간 근무지를 네 차례나 옮기며 강남·수원·인천 등지를 전전했고, 그 과정에서 근로계약서만 세 번 갱신됐다고 밝혔다.

 

유족은 근로복지공단에 산재를 신청했지만, 런베뮤 운영사 엘비엠(LBM)은 고인의 실제 근무시간 자료 제출을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의당은 “회사가 근무기록을 다르게 주장하며 유족의 산재 신청을 부도덕하다고 비난했다”고 비판했다. 

 

과로사회의 민낯

과로사회의 민낯

이번 사건은 단일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 노동 구조 전반의 고질적 문제를 드러낸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의 노동자들은 여전히 OECD 국가 중 최장 근로시간을 기록하고 있으며, 비정규직·청년층일수록 근로환경이 열악하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과로사로 인정되는 산업재해는 매년 500건 안팎으로 보고되지만, 비공식적 사례는 훨씬 많다는 분석이다. 과로사는 뇌출혈·심근경색 등 급성 질환뿐 아니라 누적된 피로로 인한 만성 질환 악화까지 포함되며, 개인의 생활 리듬과 생리적 한계를 넘어서는 노동이 직접적 원인으로 지목된다. 

 

법과 제도의 공백

법과 제도의 공백

일본은 2014년 세계 최초로 ‘과로사 방지법’을 제정해 후생노동성 내 전담부서를 설치했고, 기업의 장시간 노동 관행을 제도적으로 감시하고 있다. 반면 한국에서는 지난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주최로 과로사 방지법 공청회가 열렸지만, 입법은 아직 계류 중이다.

 

전문가들은 “노동시간 단축과 근로기록 투명화, 휴게시간 보장 등 실효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개인 차원의 건강 관리 또한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과로사의 주요 원인 질환인 심혈관·뇌혈관 질환은 고혈압·당뇨 등 기저질환 관리로 예방 가능하다.

 

그러나 제도적 안전망 없이 개인의 책임만 강조하는 것은 한계가 분명하다. ‘청년 핫플’의 이면에서 희생된 한 청년의 죽음은 한국 사회가 여전히 ‘노동의 대가’를 생명으로 치르고 있음을 보여주는 비극적 경고다.

 

런던 베이글 뮤지엄 사망 | 런던 베이글 뮤지엄 과로사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