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크로마이트 작전 | 인천상륙작전 날짜 맥아더 장군

by 이슈인터뷰 2025. 10. 23.
반응형

크로마이트 작전 | 인천상륙작전 날짜 맥아더 장군

- 크로마이트 작전 

- 인천상륙작전 날짜

 

크로마이트 작전

크로마이트 작전

크로마이트 작전은 우리에게 인천상륙작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한국전쟁 초기 북한군의 기습 남침으로 서울을 상실한 상황에서 전세를 역전시키기 위한 전략이 필요했는데 유엔군 총사령관 맥아더 장군은 과감한 결단으로 인천을 수복하고 결과적으로 서울로 진격하는 발판이 되는 작전이었다.

맥아더 장군은 다소 위험 부담이 크지만 조수 간만 차가 큰 인천을 선택하여 1950년 9월 15일 북한군의 허를 찔러 상륙했다. 인천항 확보 시 서울과 가까워 빠른 진격이 가능하고, 후방 보급로 차단으로 낙동강 방어선의 압박 완화가 기대되었다. 이러한 전략적 판단으로 작전 준비가 착수되었다.

 

인천상륙작전 사전 정찰

인천상륙작전 사전 정찰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에는 철저한 사전 정찰이 핵심이었다. 유엔군은 해상과 공중 정찰을 통해 항구 주변 방어시설, 수심, 조류를 측정하고 지형 분석을 수행했다. 특수 부대는 지상 정찰에 투입되어 적 병력 배치와 방어 진지를 파악했다.

 

조수 간만의 차가 큰 지역 특성을 고려해 상륙 시각을 정확히 계산했고, 전단 살포와 방송 심리전으로 북한군 사기를 약화시켰다. 이러한 준비는 적의 저항을 최소화하며 상륙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기반이 되었다.

 

인천상륙작전 개시 및 인천 탈환

인천상륙작전 개시 및 인천 탈환

1950년 9월 15일 새벽, 해군 함포와 공군 폭격으로 상륙군 진입로를 개척하며 작전이 개시되었다. 오전 6시경 해병대 제1사단이 월미도에 상륙해 북한군의 방어를 격파하고 핵심 거점을 확보했다. 월미도 점령 이후 유엔군은 인천 항구로 진입하며 시가지로 진격했다.

 

시가전이 진행되는 동안 공중 지원과 포병 지원이 병행되며 효율적인 진격이 가능했다. 불과 이틀 만에 인천 전역이 장악되었고, 상륙작전의 목적을 달성하며 서울로 향한 진격의 발판을 마련했다.

 

서울 수복 과정

서울 수복 과정

인천 탈환 후 유엔군은 서울 수복을 위해 북진을 시작했다. 한강 도하 작전을 통해 교량이 파괴된 상황에서도 임시 장비를 사용해 안전하게 강을 건넜다. 서울 시내에서는 북한군의 저항이 곳곳에서 발생했지만 유엔군 부대 간 협력과 전술적 진격으로 차례로 제압됐다.

 

9월 28일, 서울이 완전히 수복되며 대한민국 정부가 복귀했다. 인천상륙작전은 단순한 지역 탈환이 아니라 전세를 뒤바꾸는 전략적 거점 확보의 역할을 수행했다.

 

맥아더 장군

맥아더 장군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1880년 미국 아칸소주 리틀록에서 태어나 웨스트포인트 군사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육군 장교로 복무를 시작했다.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에서 주요 지휘관으로 활동하며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군과의 전략적 전투를 지휘했다.

 

한국 전쟁 발발 후 유엔군 사령관으로 임명된 맥아더는 불리한 지형과 높은 위험에도 불구하고 전략적 기습 상륙으로 서울 탈환이 가능한 인천상륙작전을 과감히 결정했다. 1950년 9월 15일 작전 성공을 통해 전세를 역전시키며 한반도 전쟁 판도를 바꾸었고, 1964년 사망할 때까지 미국 군사사에서 결정적 지도자로 기록되었다.

 

크로마이트 작전 | 인천상륙작전 날짜 맥아더 장군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