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라야마 별세 | 무라야마 도미이치 총리 무라야마 담화
- 무라야마 별세 사망원인
- 무라야마 도미이치 총리
무라야마 별세 총리
무라야마 총리가 별세했다. 일본의 식민 지배와 침략을 공식적으로 사과한 ‘무라야마 담화’의 주인공,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전 일본 총리가 17일 향년 101세로 별세했다. 일본 NHK와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무라야마 전 총리는 이날 오전, 규슈 오이타현 오이타시의 한 병원에서 가족이 지켜보는 가운데 노환으로 생을 마감했다.
무라야마 전 총리는 사회당 출신으로는 두 번째로 일본 총리에 오른 인물로, 재임 중 일본의 과거사를 ‘침략’으로 명시하며 진심 어린 사과를 전한 ‘무라야마 담화’를 발표해 한일 관계의 역사적 전환점을 마련했다.
무라야마 도미이치 제 8대 총리
1924년 오이타현에서 어부의 아들로 태어난 무라야마 전 총리는 젊은 시절 공무원 노조 활동을 거쳐 1972년 일본사회당 후보로 중의원에 당선됐다. 이후 1994년 자민당·사회당·신당 사키가케 연립 내각이 출범하며 제81대 총리에 취임했다. 사회당 소속으로 총리에 오른 것은 47년 만의 일이었다.
미일 안보 조약의 존속을 인정하며 사회당의 강경 평화노선을 완화하는 등 현실 정치에 맞는 조정력을 보였다. 그러나 재임 중 한신·아와지 대지진이 발생해 초기 대응 미비로 비판받기도 했다. 1996년 총리직에서 물러난 뒤에도 사회민주당 대표를 지내며 평화주의와 인도주의의 가치를 강조했다.
침략 식민 지배 인정 ‘무라야마 담화’
무라야마 전 총리는 1995년, 일본의 패전 50주년을 맞아 발표한 담화를 통해 “식민지 지배와 침략으로 많은 나라, 특히 아시아 국가 국민들에게 막대한 피해와 고통을 안겼다”며 “깊은 반성과 진심 어린 사과를 표한다”고 밝혔다. 당시 일본 총리로서는 처음으로 ‘침략’이라는 표현을 사용해 과거사를 명확히 인정했으며, 이는 동북아시아의 화해와 평화의 출발점으로 평가받았다.
또한 같은 해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아시아 여성기금’을 설립하며 역사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적 행보를 보였다. 그러나 일본 내 일부 보수층으로부터는 지나친 사과라는 비판을 받았고, 이후 일본 정치권이 ‘무라야마 정신’을 이어가지 못한 점에 대한 아쉬움도 꾸준히 제기됐다.
“일본이 평화로운 나라로 남기를”… 마지막까지 소박했던 삶
정계 은퇴 후 무라야마 전 총리는 오이타 고향에서 노년을 보냈다. 주 3회 복지시설을 찾는 등 소탈한 일상을 이어갔으며, “무리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사는 것, 가족과 하루하루를 보내는 것이 행복”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00세 생일을 맞은 그는 “일본이 계속 평화로운 나라로 남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17일 “무라야마 전 총리는 일본 총리로서 처음으로 과거사를 침략으로 명시하고 진정성 있는 사과와 역사 인식을 천명한 용기 있는 지도자였다”며 깊은 애도를 표했다. 민주당은 “일본 정치권이 고인의 뜻을 되새겨 무라야마 정신을 바탕으로 진정한 한일 관계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라야마 별세 | 무라야마 도미이치 총리 담화 사망원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