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유하 교수 | 박유하 프로필 제국의 위안부 독도
- 박유하 교수 프로필
- 박유하 제국의 위안부
박유하 교수 프로필
- 이름 : 박유하
- 나이 : 1957년생 (만 68세)
- 고향 : 서울특별시
- 학력 : 한국 고등학교, 게이오기주쿠대학 문학부 국문과 학사, 와세다대학 대학원 문학연구 석사, 와세다대학 대학원 일본문학 박사
- 가족 : 부모, 1남 3녀 중 막내, 배우자·자녀 미상
- 현직 : 세종대학교 국제학부 일어일문학과 명예교수
박유하 교수 저서
박유하 교수 대표 저서에는 『반일 민족주의를 넘어서』, 『화해를 위해서』, 『역사와 마주하기』 등이 있으며, 『제국의 위안부』로 가장 널리 알려졌다. 『제국의 위안부』는 위안부 문제를 단순한 전쟁 피해가 아니라 제국-식민지 관계 속 구조적 문제로 해석하며 큰 반향과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 외에도 『내셔널 아이덴티티와 젠더』, 『제국의 위안부 법정에서 1460일』, 『제국의 위안부 지식인을 말한다』 등을 집필했다. 번역가로서도 활동하며 가라타니 고진, 오에 겐자부로, 나쓰메 소세키, 야마다 에이미 등의 작품을 한국어로 옮겼다.
박유하 교수 독도 공유 발언 논란
박유하는 저서에서 독도 문제를 다루며 “불화의 불씨를 남기기보다 공유를 통해 평화의 섬으로 만들자”라는 입장을 언급했다. 해당 내용은 일본의 영유권 주장과 연결되며 국내 언론과 여론의 거센 반발을 불러왔다. 특히 2014년 한국일보와 조선일보는 박유하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보도했다.
한국 내에서는 영토 주권이 걸린 문제를 양보나 공유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학계와 언론에서도 정치적 민감성을 고려하지 않은 발언이라는 비판이 뒤따랐다. 이 논란은 이후 박유하의 저서와 학문적 태도 전반에 대한 검증과 재평가로 이어지며 여론의 부정적 반응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박유하 제국의 위안부 특별공로상 수상 논란
'2024년 대한출판문화협회는 『제국의 위안부』 저자 박유하와 출판사 대표를 특별공로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선정 사유는 ‘학문과 출판의 자유 수호’였다. 그러나 해당 저서가 위안부 피해자를 매도했다는 논란이 있었던 만큼 수상 발표 직후 반발이 일었다.
법적으로는 무죄 판결을 받았으나, 학계와 시민단체에서는 학문적 표현의 자유와 피해자 인권 보호가 충돌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법원은 표현을 학문적 주장으로 보았지만, 공로상 수여가 피해자의 고통을 경시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제국의 위안부 공로상 수상 반발
정의기억연대는 즉각적으로 공로상 취소를 요구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정의연은 “피해자가 여섯 명만 생존한 상황에서 역사 부정적 저자를 수상자로 선정한 것은 피해자들에 대한 모욕”이라고 성명을 발표했다.
단체는 『제국의 위안부』가 일본군 성노예제를 ‘동지적 관계’로 묘사하고 강제성을 축소했다고 비판하며, 표현의 자유가 피해자 인권을 침해하는 도구가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번 수상이 출판계 전체가 책의 내용을 옹호하는 듯한 인상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유하 교수 | 박유하 프로필 세종대 제국의 위안부